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요즘 개그 프로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마빡이'라는 코너에 대한 내용인데 이런 분석도 가능하네요...이글을 보고 '마빡이'볼 때 웃여야할지 울여야할지......

-----------------------------------------
‘마빡이’, 불평등한 노동구조에 대한 조롱

[헤럴드 생생뉴스]

요즘 개그를 보면 참 열심히 한다. 최근 막을 내린 ‘웃찾사’의 ‘우리형’ 코너에서는 김주현이 체력이 바닥나 쓰러질 때까지 격렬하게 운동을 해댄다. ‘개그콘서트’의 ‘골목대장 마빡이’에는 4명이 한명씩 나와 지칠 때까지 계속 이마를 때린다.

왜 이렇게 열심히 할까. 요즘 시청자들이 ‘날로 먹는’ 개그를 싫어하기 때문일까. 열심히 하는 이유를 사실은 잘 모른다.

‘마빡이’는 뭐니 해도 정종철의 히트작이다. 가장 먼저 나와 끝까지 버텨야 하는 ‘마빡이’ 정종철이 기진맥진하는 것을 보는게 이 코너의 시청 포인트다. 마지막인 네번째로 나오는 ‘갈빡이’ 박준형은 별로 힘 안들이고 ‘얄미운 마무리 멘트’로 상황을 끝낸다.

그런데 ‘마빡이’가 드러내는 구조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글이 나와 눈길을 끈다. 문화평론가인 이택광 광운대 영문과 교수는 문화웹진 ‘컬처뉴스’에 ‘마빡이’는 근대적 노동에 대한 혐오와 조롱을 담고 있다는 분석의 글을 기고했다.

‘마빡이’ 정종철은 “우리 코너는 분석할게 없어”라고 말하지만, ‘마빡이’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후기자본주의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이 세속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라는 신화를 먹고 하루하루 살아간다. 이 신화가 설파하는 건 무한 경쟁이지만 실제로는 불평등한 경쟁에 대한 용인이다”면서 “‘마빡이’는 불평등한 경쟁의 구조를 드러낸다. 마지막 훈계를 하는 출연자와 처음 이마치기를 시작한 출연자 사이에 가로놓인 차이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 교수는 “‘마빡이’에서 개그는 노동의 구조를 드러내는 형식이다”면서 “우리를 웃기는 건 이렇게 불평등하고 부조리한 노동의 구조에 대처하지 못하는 출연자의 무기력이다. 근면성실이라는 근대적 노동의 패러다임에 대한 대중의 혐오를 이 코미디는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고 보면 정종철이 맨 처음 등장하는 이유가 명확해진다. 외모가 떨어진다는 이유만으로 ‘비호감’으로 분류되는 정종철은 녹화장에서는 무려 10분동안 ‘마빡’을 쳐야 한다.

두번째 등장하는 ‘얼빡이’김시덕과 세번째인 ‘대빡이’김대범은 애드립으로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그러는 사이 정종철은 숨을 헐떡이며 쓰러진다.

키도 크고 외모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마지막 타자’ 박준형은 “군대에서 우리 개그를 새로운 얼차려로 만들려고 한다” “우리 개그를 2시간 짜리 영화로 만든다더라”는 둥 하며 이 상황을 노골적으로 즐긴다.

자신은 정종철보다 훨씬 쉬운 동작을 잠깐동안만 하면 된다. 우리는 이런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정종철과 박준형의 순서와 동작을 서로 바꿔주면 안될까. 그럼 개그가 안된다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505 북한의 핵실험에 대하여 1 블랙타이거 2006.10.11
1504 (번개) 삼각산 숨은벽 구경하기 5 임윤화 2006.10.10
1503 [re] 금정산 소개하기 유천 2006.10.11
1502 위位가 무엇일까 2 양군 2006.10.10
1501 아이러니 萬人之下 2006.10.08
1500 물로리 - 품걸리 트레킹 2 장은석 2006.10.08
1499 도덕에서 과학으로 2 함박웃음 2006.10.08
1498 10월 7일(토) 오후 1시 - 대구 더불어숲 번개 1 조진석 2006.10.05
1497 <번개> 10월 4일 달맞이 산행 번개 4 달맞이산행 2006.10.02
1496 테러는 과연 옳은 방법인가 블랙타이거 2006.10.01
1495 희망에 바치는 송가 조원배 2006.10.01
1494 '블랙타이거'님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 1 1 萬人之下 2006.09.30
1493 '인문학' '교수'들의 '인문학' '위기' '선언' 7 블랙타이거 2006.09.30
1492 [re] 역사를 아는 자.. 어찌 ‘인문학’을 두려워하지 않으리오 1 萬人之下 2006.09.30
» 흥미로운 기사 올려봅니다. 배형호 2006.09.30
1490 추석인사 드립니다~! ^^* 4 김달영 2006.09.29
1489 하지만 삶은 지속된다 4 함박웃음 2006.09.29
1488 오늘 선생님 글씨를 샀다 5 임지수 2006.09.28
1487 자전거를 타고온 30㎞의 여행 4 김달영 2006.09.23
1486 어제 라디오에서 들린..선생님 글귀~ 2 최윤경 2006.09.22
Board Pagination ‹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