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화전

  1. 挹彼注玆(읍피주자)

    挹彼注玆(읍피주자)
    Category서화
    Read More
  2. 挹注(읍주)

    挹注(읍주) 挹彼注玆 天降百祥 (읍피주자 천강백상) 남는것을 덜어서 모자란곳을 채우면 평화로워집니다
    Category서화
    Read More
  3. 春風秋霜(춘풍추상)

    春風秋霜(춘풍추상) 待人春風 持己秋霜(대인춘풍 지기추상) 남을 대하기는 춘풍처럼 관대하고 자기를 지키기는 추상같이 엄격해야 합니다.
    Category서예
    Read More
  4. 書三讀(서삼독)

    書三讀(서삼독) 독서는 삼독입니다. 먼저 텍스트를 읽고 다음으로 그 필자를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독자 자신을 읽어야합니다.
    Category서화
    Read More
  5. 水(수)

    水(수) 물은 낮은 곳으로 흘러서 바다가 됩니다.
    Category서예
    Read More
  6. 無鑑於水(무감어수)

    물에다 얼굴을 비추어보지 마라는 無鑑於水(무감어수)의 경구는 사람에게 자신을 비추어보라는 鑑於人(감어인)의 요구입니다. 사람들속에 자신을 세우고 사람을 거울로 삼아 자신을 비추어 보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Category서화
    Read More
  7. 當無有用(당무유용)

    當無有用(당무유용) 撚埴以爲器 當基無 有器之用 (연식이위기 당기무유기지용) 진흙으로 그릇을 만들지만 그릇은 그속이 비어있음으로해서 그릇으로서의 쓰임이 생깁니다.
    Category서예
    Read More
  8. 百鍊剛(백련강)

    百鍊剛(백련강) 精金百鍊出紅爐 梅經寒苦發淸香 (정금백련출홍로 매경한고발청향) 좋은쇠는 뜨거운 화로에서 백번 단련된 다음에 나오고 매화는 추운 고통을 겪은 후에 맑은 향기를 발합니다.
    Category서예
    Read More
  9. 百鍊剛(백련강)

    百鍊剛(백련강) 精金百鍊出紅爐((정금백련출홍로) 梅經寒苦發淸香(매경한고발청향)
    Category서예
    Read More
  10. 盡善盡美(진선진미)

    目標(목표)의 올바름을 善(선)이라 하고 過程(과정)의 올바름을 美(미)라 합니다. 목표와 과정이 함께 올바를 때 盡善盡美(진선진미)라 합니다. 작품크기 : 35*21cm 작품년도 : 2003년
    Category서예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 1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