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강물처럼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2-04-21
미디어 한겨레신문

사설.칼럼

칼럼

[신영복의 그림 사색] 강물처럼

한겨레 2012.04.21

hani_20120421.jpg

먼 길을 가는 사람의 발걸음은 강물 같아야 합니다.
필생의 여정이라면 더구나 강물처럼 흘러가야 합니다.
강물에서 배우는 것은 자유로움입니다.
강물은 유유히 흘러갑니다.
앞서려고 다투는 법이 없습니다.
부딪치는 모든 것들을 배우고
만나는 모든 것들과 소통하며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시내가 강을 만나면 강물이 됩니다.
강물이 바다에 이르면 이제 스스로 바다가 됩니다.
언제나 낮은 곳으로 흐르지만 기어코 바다를 만들어냅니다.
바다는 가장 낮은 곳에서 모든 시내를 다 받아들입니다.
그래서 이름이 ‘바다’입니다.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타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인문학 특강』교재 다운로드 2015-04-19 더불어숲
대담/인터뷰 “청년시절만은 잃지 마라”- 손잡고더불어. 돌베개.2017수록 2016-01-22 한겨레 '이진순의 열림'
대담/인터뷰 “젊은이여, 스스로 ‘변방’에 서라” - 여성신문 1191호 2012.6.22 2012-06-22 여성신문
대담/인터뷰 “자유의지와 창조의 근원 젊은이여, 변방을 두려워 마라” - 주간동아 843호 2012.06.25 (p32~33) 2012-06-25 주간동아_이혜민기자
대담/인터뷰 ‘처음처럼’ 늘 푸른 선생님, 우리 선생님 신영복 교수 - 레이디경향 2007년 3월호 2007-03-01 레이디경향_김성욱기자
대담/인터뷰 ‘여럿이 함께’ 하면, 길은 뒤에 생겨난다 - 손잡고더불어.돌베개.2017수록 2011-11-23 웹진 '채널 예스' _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기고 ‘석과불식’ 우리가 지키고 키워야 할 희망의 언어 - 한겨레 2013.5.13. 2013-05-13 한겨레신문
대담/인터뷰 ‘마지막 강의’ 『담론』 펴낸 신영복 선생 2015-04-20 예스24 채널예스_신연선
대담/인터뷰 [한국, 소통합시다] “배제·억압의 권위주의 문화가 불통사회 만들어” - 경향신문 2009.7.02 2009-07-02 경향신문_신영복, 박원순, 윤여준 좌담회_정유미기자
기사 [카드뉴스] 활자 속에 살아 있는 신영복, 신영복의 뜻 2017-01-12 인터파크 BOOKDB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