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04-02-17
미디어 프레시안

신영복 교수가 직접 강의하는 ‘신영복 함께 읽기’


프레시안 2004.2.17



<알림> 더불어숲학교 3월 13일 봄 강의 개강

  겨우내 눈속에 푹 파묻혀 있던 미산계곡에도 봄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대자연과 함께 하는 문화공동체 더불어숲학교(교장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도 기지개를 켜고 봄강의를 시작합니다.
  
  개강일은 3월 13(토)-14(일)일. 첫 강의는 개강기념으로 신영복 교장의 ‘신영복 함께 읽기’ <1>을 준비했습니다.
  
  신 교장선생님의 저작 중 일부를 함께 읽으며 그 글의 의미는 물론, 글을 쓸 당시의 상황과 얽힌 사연 등 글로 담기 어려웠거나 알려지지 않은 얘기 등을 직접 함께 나눔으로써 글의 감동을 더 깊이 맛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함께 할 내용은 <엽서>에서 한 작품, <고전강독>에서 한 작품, <나무야 나무야>나 <더불어숲>에서 한 작품, 도합 세 작품이며 참가자에겐 사전에 알려드립니다. 이 강의는 연속강의로 진행됩니다.
  
  더불어숲학교는 지난 해 10월 18일, 한국의 비경(秘境)인 내린천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미산계곡의 개인산방(開仁山房)에 열었습니다. 장엄한 암벽과 소나무와 개울이 어우러져 실경산수화를 재현하고, 새가 아니면 넘지 못한다는 비조불통(非鳥不通)계곡의 원시미(原始美)가 압도하는 절경입니다. 프레시안이 후원합니다.
  
  더불어숲학교는 대자연의 깊고 아늑한 품에서 주말의 하룻밤을 묵으며 우리 삶을 풍성하게 해줄 문화적 주제들에 대해 강의, 토론하고 나아가 대안도 모색하며 살아 숨쉬는 문화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려 합니다.
  
  제7강 신영복 교장의 ‘신영복 함께 읽기’ <1>
  
  -여는 날 : 3월 13(토)-14(일)일 (미산계곡이 봄단장을 시작하는 초봄의 1박 2일)
  -강의 : 신영복 교수의 ‘신영복 함께 읽기’<1>
  -장소 : 강원도 내린천 미산계곡 개인산방 (서울의 경우 양평->홍천->철정검문소->내촌->상남->미산계곡. 신청하시면 ‘찾아오시는 길’을 자세히 안내해드림)
  -일정
   토요일(13일) 오후 2:00- 3:00 도착, 소개, 안내
   3:00- 6:00 대자연 탐사(비조불통 계곡 산책, 뒷산 돌배나무길 오르기)
   6:00- 7:00 식사
   7:00- 9:00 강의, 토론
   9:00- 11:00 뒤풀이
   11:00 취침
   일요일(14일) 오전 6:00- 8:00 기상, 산책
   8:00- 9:00 몸&마음 체조
   9:00- 9:30 마무리모임
   9:30- 10:00 짐정리 / 청소
   10:00- 11:00 식사
   11:00 출발
  -모집 인원 : 20명 이상 30명 이내 (접수순 마감합니다)
  -회비 : 1인 7만원(1박 3식 포함)
  -참가신청은 www.toursapiens.com에서.
  -준비물 : 필기도구, 세면도구, 따뜻한 옷, 손전등, 운동화 또는 등산화
  
  -운영위원
   신남휴(위원장. 開仁山房)
   유재원(외대 교수. 언어학)
   승효상(이로재 대표. 건축가)
   허의도(중앙일보 부장)
   이승혁(사진작가)
   이근성(프레시안 상임고문)
  
  -문의 :

프레시안/알림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고 희망의 언어 碩果不食 -‘NEWS+’1998.9.24 1998-09-24 NEWS+
대담/인터뷰 풀잎처럼 어깨 동무해 살고픈, 우리시대 선비 신영복_오숙희 1996-05-01 참여와 연대 격월간지 '참여사회'
대담/인터뷰 통일혁명당사건으로 20년 만에 가석방된 신영복씨 1989-11-01 사회와 사상(한길사) 통권 제15호
기고 통일 그 바램에서 현실로 - 1995 경실련 총서 5 1995-01-01 경실련 총서
기고 책은 먼 곳에서 찾아 온 벗입니다 - 중앙일보 2011.01.01. 2011-01-01 중앙일보
기타 책[이용훈의 내 인생의 책](1) 엽서 - 경향신문 2014.10.20 2014-10-20 경향신문
대담/인터뷰 진정·겸손하게 실천하면 사회모순 치유된다 - 경향신문 2008.4.1. 2008-04-01 경향신문_조호연사회에디터 대담_오동근기자
대담/인터뷰 진보의 연대, 명망가 중심 뛰어넘어야"_씽크카페컨퍼런스 2011-04-27 오마이뉴스_하승창
기고 지식의 혼돈 - 중앙일보 2001.9.21. 2001-09-21 중앙일보
대담/인터뷰 지배구조 고착으로 과도한 대립·갈등 표출 - 손잡고더불어.돌베개.2017수록 2006-09-29 경향신문 '창간60주년 특집 대담' _이대근대담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