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6-01-19
미디어 머니투데이

[최광임 시인이 읽어주는 디카시]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행


머니투데이  최광임 시인·대학강사


가뜩이나 부박하고 천박해진 이 시대, 지성 한 분이 우리로부터 멀어졌다. 많은 이들이 낙담하고 탄식하는 이유이다.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푯말 하나 덩그러니 존재하는 한명회의 정자 압구정과 뭇사람들의 명소가 된 황희 정승의 반구대 비교를 통해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쉽게 이야기해 주던 이 시대의 스승, 고 신영복 선생이 타계했다.

이제 그분에게 있어 죽음은 소멸이 아니다. 단절이 아니다. 다른 형태로 바뀐 한 존재를 우리가 다른 방법으로 인지해야 하는 것뿐이다. 다만, 우리가 힘든 것은 그 인지 방법이 익숙하지 않다는 데 있기에 슬퍼하고 낙담하기를 반복하는 것이나, 이미 우리는 선생의 존재 방식을 재인식한다. 학문이란 지식이라는 관념으로부터 삶이라는 가슴으로 가는 길이어야 한다는 것을 삶으로 보여주신 우리의 선생이기 때문이다. 하여, ‘이 세상에서 가장 먼 여행은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행’이라고 했던 선생의 말을 따라 우리도 그렇게 여행할 것이다. 선생은 그렇게 ‘아주 길게 난 길’에서 천년을 살 것이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타 [발문] 박건웅 장편만화 '꽃' 2004-07-15 새만화책
기사 [산영복론] 혼돈의 시대, 다시 새기는 신영복의 말 2017-01-09 경향신문_정원식
기타 [서문] 나카지마 아츠시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사람들' 1993-07-25 다섯수레
강연 [서점에서 만난 사람: 신영복 북콘서트] 변방을 노래하는 사람, 사람들 - 반디앤루니스 2012.06.15 2012-06-15 반디앤루니스
대담/인터뷰 [서점에서 만난 사람: 신영복 인터뷰] 세상의 중심에서 변방을 외치다 - 반디앤루니스 2012.07.13 2012-07-13 반디앤루니스_에디터 현선.희진
기사 [선생님의 책꽂이] 신영복 지음 '처음처럼' - 청양교사독서모임 간서치 (지은이) 2013-10-14 작은숲
강연 [시민학교] 신영복, "가슴으로 생각하고, 발로 변화하라" - 블로터닷넷 IT/과학 2009.11.22"
기사 [신영복론] '사색에서 담론으로' 신영복의 삶과 철학 2016-01-22 내일신문_차미례
기사 [신영복론] '언약은 강물처럼 흐르고 만남은 꽃처럼 피어나리' 2016-01-26 기독공보_이홍정
기사 [신영복론] '자찬 묘지명'을 쓰는 마음 2016-02-11 광주일보_이덕일
Board Pagination ‹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