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방명록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연합뉴스 2013.10.23] 국제공통어 에스페란토…희망과 고난의 역사 / 김영현 기자

 

(기사 일부 발췌)

"신간 '위험한 언어'는 에스페란토가 걸어온 고난의 역사를 충실하게 담은 책이다. 독일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인 울리히 린스가 저자다. 세계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깊이 관여한 그는 에스페란토어로 이 책을 썼다.

그는 '어떤 점이 박해자들을 자극했는가' '에스페란토 운동이 본격화될 때 주변 정치 사회적 환경은 어떠했는가' 등의 질문을 던지며 독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10/23/0200000000AKR20131023063300005.HTML?from=search

 

[라이프투데이 2013.10.23]  영어를 대체할 수 있는 공통어는 존재할까? ‘위험한 언어’ / 임가영 기자

 

(기사 일부 발췌)

"책 ‘위험한 언어’는 국제공통어의 이상을 실현하고 인류의 평화를 도모하고자 창안된 ‘에스페란토’의 100여 년의 역사를 객관적 소개와 명확한 문체, 풍부한 자료들에 근거해 서술한 책이다.

 

“인류가 소통할 수 있는 패권어가 아닌 언어는 없는 것일까?”

 

이 질문에 울리히 린스는 국제공통어의 이상을 실현하려 한 에스페란토의 고난과 희망을 기록한 역사를 서술한 책 ‘위험한 언어’로 조심스레 답을 건넨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life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99

 

[서울신문 2013.10.26]  국제 공통어인 에스페란토에 얽힌 희망과 고난의 역사

 

(기사 일부 발췌)

에스페란토는 ‘만국공통어’라는 아름다운 이상을 내걸었지만, 가시밭길을 걸었다. 좌우파나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숱한 탄압을 받았는데 이유는 다양했다.

 

에스페란토 지지자들의 좌파적 성향이 문제가 됐고, 유대주의라는 꼬리표가 붙기도 했다. 정치 상황에 이용당하기도 했다. 서유럽 국가에서는 초기 에스페란토 지지자들이 세계 프롤레타리아트의 통합을 위해 에스페란토를 사용한다고 선언했다가 ‘위험한 공산주의자들’이라고 낙인찍혔다.

 

독일 정치학자인 저자는 의사소통의 권리가 인권의 하나로 여겨지는 현실에 주목하면서 에스페란토의 미래가 밝다고 말한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1026018005

 

[경향신문 2013.10.26]  에스페란토 박해의 역사… SNS를 통제하려는 이유와 다르지 않은 / 황경상 기자

 

(기사 일부 발췌)

스탈린 치하에서 에스페란티스토들은 간첩으로 몰렸다. 탄압의 강약은 다양했고 적들의 유형도 달랐지만 에스페란토 억압자들은 공통점이 있었다. 사람들이 민족·종교·언어를 뛰어넘어 자유롭게 직접 만나 대화하고 의사소통하는 행위를 두려워했다는 것이다. 정보 독점으로 권력을 유지하려는 이들에게 그만큼 두려운 건 없었다.

 

오늘날 에스페란토 박해의 역사를 읽는 의미는 여기에 있는지도 모른다. 한때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맹비난했다가 이젠 자신들의 목소리로 도배하려고 드는 이들 또한 에스페란토 박해자들과 같은 목적을 지녔을 테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0252134245&code=960205

 

[국민일보 2013.10.24]  인류공통어, 그저 꿈일까 / 김나래 기자

 

(기사 일부 발췌)

분량은 짧지만 중국과 조선,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의 에스페란토 운동을 보여주는 장도 흥미롭다. 다민족 다언어라는 현실이 근대화를 저해할까 우려하던 중국 지식인들은 에스페란토의 전면 도입을 주장했다.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던 조선에서 에스페란토 운동은 진보적인 동시에 구국의 운동이었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684757&cp=nv

 

[동아일보 2013.10.26]  에스페란토를 국제공용어로 만들려는 도전, 세계 곳곳에서 억압받고 배제당한 역사

 

(기사 일부 발췌)

1887년 폴란드인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국제공용어를 창안하고 ‘희망하는 사람’을 뜻하는 에스페란토라고 명명했다. 에스페란토를 국제공용어로 만들려는 도전,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억압받고 배제당한 역사가 담겼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31026/58470115/1

 

[한겨레 2013.10.28]  1887년 자멘호프가 창안한 국제공용어 에스페란토 100년의 역사

 

(기사 일부 발췌)

유럽 9개 언어에서 공통점과 장점만을 뽑아낸, 예외와 불규칙이 없는 문법을 지닌 에스페란토는 인류 공통어를 지향하나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패권어를 추구하는 좌우파 세력에 의해 억압받아 왔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08665.html

 

* 갈무리 도서를 구입하시려면?

인터넷 서점> 알라딘 교보 YES24 인터파크 반디앤루니스 인터넷영풍문고

전국대형 서점>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지에스문고 북스리브로

서울지역 서점> 고려대구내서점 연세대구내서점 그날이오면 풀무질 건국인 책방이음 더북스 더북소사이어티

지방 서점> 경인문고 영광도서 부산도서 충장서림 청년글방

 

* 갈무리 출판사/ 다중지성의 정원의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bit.ly/17Vi6Wi

 

* 갈무리 저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galmuri.elogin.co.kr/writernet


  1. Guest

    신영복 선생님! 저는 부산에 사는 유수화입니다. 늘 마음으로 선생님을 존경하고 있습니다. 선생님과 함께하고 싶은 마음에 오늘 저도 더불어숲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건강하십시요.
    Date2010.07.04 By대혜장
    Read More
  2. Guest

    안녕하세요?? 선생님께 강연을 요청하고자 이렇게 불쑥 글을 남깁니다. "부평아카데미"는 매달 부평구청 공무원과 구민을 대상으로 하는 명사초청 강연입니다. 이에 선생님을 모시고 강연을 들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렇게 청합니다. 보통 셋째주 수요일 오후 ...
    Date2010.07.02 By이소연
    Read More
  3. Guest

    안녕하세요. 가입인사드립니다. 파주에 사는 박명선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Date2010.06.09 By박명선
    Read More
  4. Guest

    신영복 교수님께 감히 여쭙고 싶은게 있는데요, 어디에 올려야 할지, 어떻게 연락을 해야 할지 몰라 여기에 조심스럽게 남겨봅니다. 꼭 교수님 읽어주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지난 4월 15일 한국과학기술총회관에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강의를 잘 들었습...
    Date2010.04.17 By허영준
    Read More
  5. Guest

    안녕하세요. 이곳 더불어숲의 나무 한 그루가 되기보다는 장작처럼 살아가는 회원입니다. 아울러 저는 휴넷골드클래스 창립때 가입한 초창기 멤버입니다. 처음부터 빠지지않고 명사들을 만나온 공간으로 많은 감동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이명박,오세훈,김문수...
    Date2010.05.17 By안중찬
    Read More
  6. Guest

    선생님을 초청하고 싶습니다. 저는 2008년 9월 교장공모제로 근무하고 있는 경남 사천시에 있는 사천중학교 교장입니다. 우리학교는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명사초청강연회'를 열고 있습니다. 평소 존경하는 신선생님을 우리학교 학부모 대상강연회에 강사로...
    Date2010.04.15 By김정규
    Read More
  7. Guest

    회원가입도 없이 그저 좋은 글들을 훔쳐^^읽다가 선생님의 강연이나 숲 모임 회원들의 좋은 자리에도 참석하고 싶어 인사드립니다. 선생님의 책을 통해 모자란 생각들을 반성하고 조금씩 고쳐나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좋은 자리에서 만나게 되기를 희망합...
    Date2010.03.24 By곽진영
    Read More
  8. Guest

    안녕하세요. 감옥으로부터의사색 책의 독자입니다. 현재 중국에서 유학하는 학생이구요, 정말 우연스럽게 이 책을 접하게되어 선생님을 알게되었습니다. 몇번을 읽고 또 읽었는지 책이 빛바랜만큼 구절구절 외우는 부분도 생겼구요, 더 많은 저서를 읽고싶지만...
    Date2010.03.13 By혜지
    Read More
  9. Guest

    안녕하세요? 더불어숲에서 함께 더불어살아가는 희망을 찾고 싶습니다. 저는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입니다. 학교는 대전이나, 집은 청주라서 혹시 지역별 모임이 따로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신영복선생님을 책을 통하여 그리고 강연을 통해 만나고 있습...
    Date2010.03.11 By고은정
    Read More
  10. Guest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더불어 숲이 있는줄 이제 알았습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통하여 많은 가르침을 얻었습니다. 이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Date2010.03.04 By강양권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05 Next ›
/ 10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