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이젠 봄을 해가 바뀌면 당연히 맞이하는 일도 다행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절로 접어든 건가? 하는 두려움을 느낀다. 땅과 나뭇가지들에서 솟아오르는 새싹들에게는 달디단 꿀과 같은, 우리에겐 상념이라든가 추억을 되돌아보게 하는 봄비의 이미지가 아닌 ‘방사능’이라는 흉악한 것과 쉽게 짝을 이루는 시대에서 봄을 맞이하고 있다. 낮에는 초여름 냄새를 풍기다가 밤에는 싸한 기온차가 정말 이러다간 몇 해가 지나면 우리는 봄을 빼앗긴 땅에서 살아가는 건 아닐까? 아니 갑작스레 재난을 당해 생명을 빼앗긴 사람들과 같은 운명이 우리 앞에 다가오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방정맞은 생각을 한다. 정상적인 봄도 아닌듯 싶고, 너무도 큰 지구적 재앙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삶의 방식에 대한 반성도 없는 우리 사회를 보면서 드는 소름끼침이다.

후쿠시마 원전, 쌍용 자동차, 카이스트, 삼성반도체, MB…. 요 근래 나의 머리 속에서 떠나지 않고 맴도는 문제들이다. 각각이 놓인 지리적, 사회적 성격이 다르더라도 공통적으로 꿸 수 있는 것은 정책 결정자들의 인간 이해에 대한 무지가 아닐까 싶다. 분명 큰 사단이 나기 전에 각각의 조직 내부에서는 위험을 예고하는 작은 사고들이 있었을 것인데, 이런 신호를 감지하고 조직을 점검하는 체계가 내부에 없었다는 것이다. 아니 이런 오류교정체계를 최고결정자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풍조가 우리 사회 전반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호들이 조직의 효율을 방해하는 나쁜 의도로, 혹은 조직의 통일을 해치는 이단자로 묵살되는, 조직 내에서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고 이에 반응하는 민주주의에 대한 손바닥만한 틈이라도 보장되지 않는 한 끔찍한 일들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비단 이런 원리는 앞에 열거한 곳만이 아니라 사실 우리 모두가 생활하는 국가, 직장, 사회, 교회, 학교에 통용되고 있는 질서라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자신'들은 이런 질서들에 의탁해 묵묵히 순응해야 그나마 이 정도의 안위를 건사할 수 있다고 합리화하는 사이, 비인간적인 질서는 더욱 공고해져 누구도 어쩔 수 없는 성채가 되어버렸다. 최고 정책 책임자들은 최고가 되거나 혹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으며,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책임에서 빠져나간다. 누군가를 죽게하고 다치게 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게 만들고, 우울증을 앓도록 하는 그 비인간적인 관료적 통제가 구체적인 영향력으로 현실화되는 그 지점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자기는 어쩔 수 없었다거나, 자기의 일상적인 업무를 했을 뿐이라는 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비인간적인 문화의 내면들이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밥을 구하는 모든 일터는 이렇게 돌아가고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당장 내가 사무실에서, 교실에서 하는 구체적인 일들을 돌아보라, 당장 내가 일하는 이 조직내에서 벌어지는 반인권적인 일들에 대해 얼마나 개입하여 작은 변화를 이뤄낼 수 있는지를 돌아보라.

점점 사람들은 구체적인 일상에서 내가 할일이 별로 없다고 하면서, 진보는 특정한 나라에서 온 어떤 종류의 커피를 무슨 그릇에 특이한 방식으로 볶아, 적당한 온도와 비율의 물에 타야 제 맛이라는 이름도 복잡한 커피와 같은, 먹고 살만한 사람들의 기호식품처럼 되어가고 있다. 그러는 사이 사람들은 총기(聰氣)와 말을 잃어버리고, 우아한 진보에 끼일 수 없는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생명을 버리는 궁리를 하는 것이 오늘이 아닌가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65 지리산 산행 하실분~~^^ 2 표문수 2005.07.25
2964 지리산 당일종주기 4 김우종 2007.09.05
2963 지리산 14 유천 2007.12.15
2962 지난주에 다녀온 금강산 입니다. 6 이명구 2006.11.17
2961 지난 번에 헌혈증으로 도움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위국명 2006.12.12
2960 지난 메일들을 정리하다가... 김동영 2007.05.22
2959 지나친 요구인가요? 3 우공이산 2003.05.30
2958 지나는 길에 10 상록수 2006.12.28
2957 지나간 질문인데 다시 합니다 2 등록한 사람 2003.05.20
2956 지금은... 소나무 2005.02.26
2955 지금과 같은 진보신당의 정치실험이 유효할까? 7 장경태 2010.06.29
2954 지그재그로 <대한문>까지 걸어보았습니다. 2 김상연 2009.05.29
2953 지구는 자기자신을 중심으로 돈다 장오수 2006.04.27
2952 증오 소나무 2007.08.15
2951 증말 맛나게 먹었습니다. 김종천 2008.05.18
2950 즐거운 상상 김성숙 2004.01.20
2949 즐거운 명절 보내시길... 3 이명구 2003.09.08
2948 즉문즉설에 대해 김자년 2010.09.13
2947 중탕, 된장찌개 4 노동꾼 2010.06.30
2946 중요한 것 1 솔방울 2003.03.27
Board Pagination ‹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