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6. 나는 자유이므로.....

  그리이스의 대문호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1957년 10월 26일 독일의 프라이부르크에서 사망했습니다. 74세 였습니다. 그리고  11월 5일 그의 고향 크레타로 유해가 옮겨져 그곳에 묻혔습니다. 죽어서야 돌아갈 수 있었던 고향이었습니다. 그리이스를 방문하는 수많은 여행객들은  크레타를 찾아 그의 묘소를 둘러봅니다. 나무 십자가와 묘비명은  우리도 책상 앞에 앉아서 생생하게 동영상으로 다 볼 수 있을 만큼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이므로..." 

그는 1956년 가을에 영혼의 자서전이라고도 불리우는 “희랍인에게 이 말을” 이라는 책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그의 영혼의 자서전을 때맞춰 끝내지 못했습니다. 아니 다른 때처럼 원고를 다시 쓸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읽어봐,  레노츠카 , 내가 들을 수 있게 읽어 봐!”

보이는 것, 냄새, 감촉, 맛, 듣는 것, 지성 -- 나는 내 연장들을 거둔다. 밤이 되었고 하루의 일은 끝났다.  나는 두더지처럼 내 집으로, 땅으로 돌아간다.  지쳤거나 일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은 아니다.  나는 피곤하지 않다.  하지만 날이 저물었다........

레노츠카는  목이 메어 더 읽을 수가 없었습니다.  니코스가 죽음에 대해 애기를 하기는 이때가 처음이었답니다.

“당신은 왜 당장 죽을 사람처럼 글을 쓰나요?”

“내 행동으로 나를 판단하지 말고, 인간의 관점에서 나를 판단하지 말아요.”

투쟁자인 그가 언젠가 레노츠카에게 요구했습니다.
“신의 관점에서-- 나의 행동의 뒤에 숨은 목적에 의해서 나를 판단해”

우리는 카잔차키스를 그렇게 판단해야 합니다. 그가 무엇을 했느냐, 또는 그가 한 행동이 가장 숭고한 가치를 지녔느냐가 아니라 그가 무엇을 하기를 원했느냐, 또는 그가 원하던 행동이 그를 위해서, 그리고 우리들을 위해서 숭고한 가치를 지녔느냐를 판단해야 합니다.

적어도 레노츠카는 그 가치가 존재했다고 믿는답니다. 그의 곁에서 살아온 33년 동안에 그녀는 그가 저지른 나쁜 행동 때문에 부끄러움을 느꼈던 순간이 단 한번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는 정직했고, 꾸밈이 없었고, 결백했고, 다른 사람들에게 한없이 다정했고, 자기 자신에게만 가혹했습니다. 그가 고독에 빠져 들었다고 해도, 그것은 다만 그가 해야 할 일이 막중했고, 죽음이 가까웠기 때문이었습니다.

컴컴한 곳에서 새까만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그는 가끔 레노츠카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난 베르그송의 말대로 하고 싶어... 길 모퉁이에 나가 서서 손을 내밀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구걸을 하는 거야. <적선하시오, 형제들이여! 한 사람이 나에게 15분씩만 나눠 주시오.> 아, 약간의 시간만, 내가 일을 마치기에 충분한 약간의 시간만을. 그런 다음에는 죽음의 신이 찾아와도 좋아.”

카잔차키스보다 20년 어렸던 그의 두 번째 아내는 엘레니( 카잔차키스는 그녀를 레노츠카라고 불렀습니다)는 평생 그의 영혼과 깊이 공감을 하던 동반자였습니다.  이 마지막 작품을 카잔차키스는 피로 쓴 글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기억하려고 그의 기억력을 더듬었고, 허공에 그의 삶을 엮었으며 장군 앞의 병사와 같은 자세로 희랍인에게 이 말을 하였습니다. 그  까닭은 희랍인들은 그와 같은 흙으로 빚어졌고, 과거나 현재의 어떤 투쟁자보다도 그를 잘 이해할 것이기 때문이었답니다.

내가  20대였던 어느 날  내 친구가  <희랍인에게 이 말을>이라는 책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 책을 한번 읽어보라면서...나는 그때 처음으로  니코스 카잔차키스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동안 너무나 놀라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그 사람이 내 나이가 될 때까지 배우고 익힌 것과 그의 경험세계가  너무나 컸기 때문입니다. 그후로 나는 이 책을 가져다준 친구를 스승처럼 모시고 지금까지도 책에 관한 것은 이 친구에게 물어보며 살고 있습니다. 스승같은 친구입니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이 책을 선물하고는 했습니다. 물론 그때는 이 책이 "영혼의 자서전"이라는 이름으로 고려원에서 다시 나왔고 책도 많이 두꺼워 졌지요. 그들이 얼마나 이 책과 친해졌는지는 잘 모릅니다. 아마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두꺼운 책이어서 선뜻 읽어 내리기가 쉽지는 않았을 것입니다.그러나 작가가  그의 고향땅의 사람들에게 죽음을 앞두고 피로 써내려간 글은 정말  신의 관점에서 보지 않더라도 이미 숭고한 마음으로 마주하게 됩니다. 

그가 내 눈을 번쩍 뜨게 해준 말이 또 하나 있습니다.

"나는 어느 날 아침에 본, 나무 등걸에 붙어 있던 나비의 번데기를 떠올렸다. 나비는 번데기에다 구멍을 뚫고 나올 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다. 나는 잠시 기다렸지만 오래 걸릴 것 같아 견딜 수 없었다. 나는 허리를 구부리고 입김으로 데워 주었다. 열심히 데워 준 덕분에 기적은 생명보다 빠른 속도로 내 눈앞에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집이 열리면서 나비가 천천히 기어 나오기 시작했다. 날개를 뒤로 접으며 구겨지는 나비를 본 순간의 공포는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이다. 가엾은 나비는 그 날개를 펴려고 파르르 몸을 떨었다. 나는 내 입김으로 나비를 도우려고 했으나 허사였다. 번데기에서 나와 날개를 펴는 것은 태양 아래서 천천히 진행되어야 했다. 그러나 때늦은 다음이었다. 내 입김은 때가 되기도 전에 나비를 날개가 쭈그러진 채 집을 나서게 한 것이었다. 나비는 필사적으로 몸을 떨었으나 몇 초 뒤 내 손바닥 위에서 죽어 갔다. 나는 나비의 가녀린 시체만큼 내 양심을 무겁게 짓누른 것은 없었다고 생각한다. 오늘날에야 나는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행위가 얼마나 무서운 죄악인가를 깨닫는다. 서둘지 말고, 안달을 부리지도 말고, 이 영원한 리듬에 충실하게 따라야 한다는 것을 안다."
             --  <희랍인 조르바> 에서

영원한 우주의 리듬을  충실하게 따르며 나만의 이유로 살아가는 것...이것이 나의 자유의 시작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25 8. 마음에게 말걸기 11 좌경숙 2011.03.10
2924 3월 26일 행사 현황 및 개요 알림 2 심은희 2011.03.10
2923 김제동의 똑똑똑 - 신영복 성공회大 석좌교수 3 나무에게 2011.03.08
2922 아름다운 것은 잃은 뒤에야 깨닫는다 5 심은희 2011.03.06
2921 이런저런 생각들.. 1 김영재 2011.03.04
2920 7. 한결같은 것은 아무것도 없는 달, 3월 8 좌경숙 2011.03.03
2919 메모 - 2011. 3. 3 노동꾼 2011.03.03
2918 밀양여행에서 얻은..더불어숲이 ‘움직이는 숲’이 되기 위한 힌트 2 김선희 2011.03.01
2917 조금 늦은 밀양강연회 사진 2 김인석 2011.02.28
2916 더불어숲 3월 모임 제안 4 심은희 2011.02.28
2915 [re] 더불어숲 3월 모임 확정 공지(43명 선착순 신청받습니다~) 12 그루터기 2011.02.28
2914 [re] 일요일까지 신청받지만... *^^* 2 그루터기 2011.03.10
2913 밀양사진 시리즈3~ 의열단 박차정 열사 묘소에서 1 야수 2011.02.26
2912 밀양사진 시리즈2~ 아침산책길과 관재정에서 1 야수 2011.02.26
2911 밀양사진 시리즈~ 밀양강, 밀양초등학교, 삼원정에서 1 야수 2011.02.26
2910 또다시 즐거운 만남이었어요.^^ 5 이계삼 2011.02.26
2909 아이들과 함께 한 밀양 너른마당 방문 5 은하 2011.02.25
2908 다시 태어나지 말라는 것은 김자년 2011.02.25
» 6. 나는 자유이므로.... 9 좌경숙 2011.02.24
2906 번 개 3월1일 등산번개( 개미마을 인왕산) 7 가보세 오르세 2011.02.23
Board Pagination ‹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