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서도
아버님께


이번 겨울은 한온(寒溫)이 무상하여 앞날씨를 측량키 어렵습니다. 저희는 제일 추운 날씨를 표준하여 옷들을 입고 있습니다. 호한(購寒)에는 볼품이 없어도 솜이 든 저희들의 수의(囚衣)가 신사들의 옷보다 훨씬 '아름다워' 보입니다. '아름다움'이란 바깥 형식에 의해서라기보다 속 내용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규정되는 법임을 확인하는 심정입니다.
서도의 경우에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자획(字劃)의 모양보다는 자구(字句)에 담긴 뜻이 좋아야 함은 물론 특히 그 '사람'이 훌륭해야 한다는 점이 그렇습니다. 작품과 인간이 강하게 연대되고 있는 서도가, 단지 작품만으로 평가되는 인간 부재의 다른 분야보다 마음에 듭니다. 좋은 글씨를 남기기 위하여 결국 좋은 사람이 될 수밖에 없다는 평범한 상식이 마음 흐뭇합니다. 인간의 품성을 높이는 데 복무하는 '예술'과 예술적 가치로 전화되는 '인간의 품성'과의 통일, 이 통일이 서도에만 보존되고 있다고 한다면 아무래도 근묵자(近墨者)의 자위이겠습니까.
요즈음은 다시 {논어}를 들었습니다.
외풍이 센 방에는 새벽이 일찍 옵니다. 새벽 창 밑에 앉아 고인의 지성을 읽어봅니다.

 

 
이우천하지선사위미족 우상론고지인
以友天下之善士爲未足 又尙論古之人

 

 
천하의 선비로서도 부족하여 고인을 읽는다는 {맹자}의 일절이 상기됩니다. 항상 생활 속에서 먼저 깨닫기로 하고 독서가 결코 과욕이 되지 않도록 부단히 절제하고 있습니다.
아직 손 시려 글씨 쓰지 못합니다. 종이 필요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어머님 강건하시길 빕니다.

 

 

 

 
1980. 2. 2.

  1. 새끼가 무엇인지, 어미가 무엇인지

    Category나는 걷고 싶다(전주)
    Read More
  2. 새벽 새떼들의 합창

    Category나는 걷고 싶다(전주)
    Read More
  3. 새벽 참새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4. 새해에 드리는 엽서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5. 샘이 깊은 물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6. 생각을 높이고자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7. 생각의 껍질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8. 서도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9. 서도와 필재(筆才)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10. 서도의 관계론(關係論)

    Category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5 Next ›
/ 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