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한결이에게.

처음으로 편지를 쓰게 되는구나.
이십여일 전 남산에서 가진 모임 때 아빠를 뵙고는 너의 이름 물어보았는데,
지금 기억이 나지 않는구나.
지현이라고 하셨던가.
기억이 안나.
미안하구나, 한결아.
이곳 <사진모음>에서 돌을 들고 있는 너의 모습을 보고는 이십여년 전 여름의 기억으로 떠나게 되었단다.
지금은 다 커서 서른살을 훨씬 넘었거나 서른을 바라보는 나이가 된 조카들이지만 그때는 중학생, 초등학생, 유치원생인 아이들이었지.
한결이가 지금 몇 살이지?
아마 가장 작은 아이도 한결이보단 조금 많았을 거야.
아이들 다섯명을 데리고 경상북도 봉화 청량산으로 여행을 떠나게 되었단다.
딱히 어느 곳을 정해놓고 가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고 산과 강이 만나는 곳이면 좋겠다싶어 택하게 되었지.
짐은 무겁고 말도 잘 안듣고 온갖 수발을 다해줘야 했기에 많은 힘이 들었지만 내 스스로 원한 일이어서 참고 이겨나가야만 했단다.
그런데 소중한 일깨움이 있어 이렇게 너에게 편지를 쓴다.
청량산에는 낙동강이 흐른단다.
청량산으로 접어들기 전, 낙동강가에 텐트를 치고 하루를 묵은 다음날이었지.
느지감치 아침을 해먹고 나니까 아이들이 슬금슬금 강가로 들어가 물놀이를 하기 시작하더구나.
물이 참 맑았어.
강물 속이 훤히 보였거든.
나도 그 안으로 들어가보고 싶더구나.
한 발 한 발 강물 속으로 발을 담궜지.
그리곤 아이들과 함께 헤엄도 치며 물장구도 치고 놀기도 했지.
그런데 말야, 강바닥의 맨질맨질한 느낌이 너무 좋았어.
바닥에 놓여있는 그 무엇과  닿는 내 발의 느낌이 너무 좋았던거야.
손을 강물 속으로 넣어 그 무엇인가를 집어 들었단다.
바로,
돌이었지.
둥글둥글한 돌이었던 거야, 한결아.
둥글둥글한 돌이 내 발을 즐겁게 해주었던 것이고, 집어든 돌의 모습이 나의 눈과 마음을 기쁨으로 다가오게 한 것이야.
그런데 이 돌은 왜 둥글둥글할까?
잠시 후엔 이런 생각에 미치더구나.
그러더니, 그렇지.
둥글둥글한 것이 아니었지.
원래 이 돌은 모가 난 것이었어.
아득한(玄) 때는 모가 났던 것이 물(水)이라는 시간과 환경을 만나 다듬고 다듬기를 오래도록 하다가 여기에 이른 것이구나.
더구나 물은 제공자일 뿐 결국 같은 돌들과의 섞임과 부딪힘으로 원만함을 빚어내는것이로구나.
한결아.
그때의 기억으로 돌과 살아가는 모습을 다시 보게 되었단다.
아름다운 돌은 꾸밈새로 쓰이지만 돌맹이는 일깨움으로 다가온단다.
아빠가 한결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극진하시더구나.
아빠가 건네주는 너의 사진을 내가 얼른 받아들지 못했던 건
나에게 한가닥 불순한 마음이 들어서였으니 미안해 하지 말아라.
그것은 나의 미흡함이니 용서해 주기 바란다.
한결아.
항상 건강하고 밝게 생활하여라.

    경주 건천실(乾川室)에서 스님이 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25 한국 교육, 죄수의 딜레마에 빠지다. 2 정해찬 2008.10.09
» 한결이에게 쓰는 편지 6 유천 2007.12.19
3223 한겨레신문 8월13일 광고 나무에게 2008.08.19
3222 한겨레 신문을 보다가... 3 류지형 2008.05.15
3221 한 해가 시작되며 7분 선생님들의 복직도 이뤄지길 바라며 레인메이커 2010.01.01
3220 한 층 더 오르다~ 8 배기표 2011.12.01
3219 한 어린나무의 궁금증.... 4 김인석 2003.05.13
3218 한 번만 더 올립니다 2 신복희 2006.12.29
3217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석삼 2004.02.06
3216 한 개의 송곳니 2 함박웃음 2006.12.03
3215 학부모님들과 진솔하게 이야기를 나누며 레인메이커 2005.03.16
3214 학교를 위한 군사학 세례를 받고.. (생각이 다른 당신과 마주서며) 레인메이커 2003.07.09
3213 학교를 `학생을 위한 학생에 의한 학생의 것’으로 돌려줘야 한다(한겨레신문 시평) 주중연 2003.03.09
3212 학교로부터의 사색 17 정연경 2003.03.07
3211 학교는 왜 다닐까 (아이들의 눈과 마음으로) 3 레인메이커 2003.06.28
3210 학교 선생님들께 1 김정아 2009.06.19
3209 하지만 삶은 지속된다 4 함박웃음 2006.09.29
3208 하승창의 신영복 인터뷰(서예관련부분) 김성장 2007.11.05
3207 하방연대에 대한 생각 20 조재호 2006.09.16
3206 하루를 일찍 열어가려 했던 처음 그 마음으로... 3 레인메이커 2003.06.0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