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일 | 2012-04-07 |
---|---|
미디어 | 한겨레신문 |
|
[신영복의 그림 사색] 콜럼버스의 달걀한겨레 2012.04.07 |
![]() | |
아무도 달걀을 세우지 못했지만 콜럼버스 혼자 달걀을 깨뜨려 세웠습니다. 지금도 예찬되는 ‘발상전환’ ‘콜럼버스의 달걀’입니다. 500년 동안 군림하고 있는 살아있는 전설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생각해야 합니다. 달걀을 세우지 못한 사람들은 그것이 살아있는 생명이기 때문에 차마 깨뜨리지 못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콜럼버스의 달걀은 발상의 전환이 아니라 생명에 대한 잔혹한 폭력입니다. 과연 콜럼버스 이후 세계의 곳곳에서 생명이 깨뜨려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잔혹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콜럼버스는 지금도 살아있습니다.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
분류 | 제목 | 게재일 | 미디어 |
---|---|---|---|
대담/인터뷰 | 신영복의 벼루 - 김정운 저 | 2012-02-07 | 남자의물건_21세기북스 |
대담/인터뷰 | 여행은 돌아옴(歸) 입니다 - 커피매거진 2001년 11월 | 2001-11-01 | 커피매거진_손인수 |
대담/인터뷰 | [김제동의 똑똑똑](25) 신영복 성공회大 석좌교수 - 경향신문 2011.03.07 | 2011-03-07 | 경향신문_박경은기자 |
대담/인터뷰 | 감옥은 제게 대학과 같았습니다. 신영복 교수 인터뷰 - 예스24 2004.02.01 | 2004-02-01 | 예스24 |
대담/인터뷰 | [서점에서 만난 사람: 신영복 인터뷰] 세상의 중심에서 변방을 외치다 - 반디앤루니스 2012.07.13 | 2012-07-13 | 반디앤루니스_에디터 현선.희진 |
대담/인터뷰 | “자유의지와 창조의 근원 젊은이여, 변방을 두려워 마라” - 주간동아 843호 2012.06.25 (p32~33) | 2012-06-25 | 주간동아_이혜민기자 |
대담/인터뷰 | “젊은이여, 스스로 ‘변방’에 서라” - 여성신문 1191호 2012.6.22 | 2012-06-22 | 여성신문 |
대담/인터뷰 | ‘여럿이 함께’ 하면, 길은 뒤에 생겨난다 - 손잡고더불어.돌베개.2017수록 | 2011-11-23 | 웹진 '채널 예스' _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
대담/인터뷰 | [박인규의 집중인터뷰]② 우리 삶의 조건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 프레시안 2006.08.24 | 2006-08-24 | 프레시안 |
대담/인터뷰 | [박인규의 집중인터뷰]① 사람도 '나무'라고 생각합니다 - 프레시안 2006.08.23 | 2006-08-23 | 프레시안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