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6-02-16
미디어 매일신문_황희진

[채널]  시대의 거울, 고(故) 신영복 교수의 옥중 사색


EBS1 ‘지식채널e’ 오후 1시 5분


EBS1 TV ‘지식채널e’가 16일 오후 1시 5분에 방송된다. 지난달 15일 암 투병 끝에 향년 75세의 나이로 별세한 고(故) 신영복 교수의 이야기를 전한다. 그가 걸어온 길을 되짚어 보고 특히 그가 수감 생활을 하며 시대를 비추는 글을 남겼던 20년 기간을 조명해본다. 그의 정확한 수감 기간인 ‘20년 20일’이라는 제목으로 16일 1부 ‘햇볕’이 방송되고, 다음 달 1일 오후 1시 5분에 2부 ‘나무가 나무에게’가 방영된다.


194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난 신영복 교수는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된다. 사형 선고를 받지만 무기수로 감형된 그는 그의 표현대로 ‘끝을 알 수 없는 어두운 동굴’ 같은 감옥 생활을 시작한다. 어두운 동굴 속에서 그는 희망을 찾아나선다. 독방에서의 깨달음을 손바닥만 한 엽서 수백 통에 담아낸다.


신 교수가 남긴 엽서 글은 ‘옥중 문학의 백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두 가지 이유를 들었다. 하나는 늘 가족을 향하는 글이어서였고, 또 하나는 한 달간의 사색을 담아낼 공간이 오직 엽서 한 장뿐이었기 때문이란다. 가족을 향한 마음은 반듯함으로, 한 달의 사색을 엽서 한 장에 응축해야 하는 제한은 정갈함으로 표출됐다. 그의 엽서 속 글자 하나하나가 우리 마음 깊숙이 와 닿는 까닭이다.


황희진 기자  매일신문  2016.02.16


  1.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 교육사랑방 10돌 기념강연 2007년 9월

    Category강연
    Read More
  2. [동아시아문화공동체포럼 기조강연] 21세기 동아시아의 새로운 관계지향을 위하여

    Category강연
    Read More
  3. 따뜻한 가슴과 연대만이 희망이다 - 관악민주포럼 강연회 - 신동아 2001년 7월호

    Category강연
    Read More
  4. 나의 대학시절-영남대 강연 - 녹색평론 1999년 9-10월 통권 제48호

    Category강연
    Read More
  5. 경주엑스포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영문) 1998.11.5.

    Category강연
    Read More
  6. 경주엑스포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한글) 1998.11.5.

    Category강연
    Read More
  7.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성공회대 제3회 교사아카데미 - 월간 우리교육 1998.6

    Category강연
    Read More
  8. 지금은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할 때 - 성공회대 제1회 교사아카데미 - 격월간 처음처럼

    Category강연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