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4-10-20
미디어 경향신문

책[이용훈의 내 인생의 책](1) 엽서 - 잊는다고 세상이 살 만해질까


이용훈 | 서울도서관장


엽서.jpg

▲ 엽서 | 신영복


여행을 가면 종종 그 동네 우체국에 들러 엽서를 한 장 사서 몇 자 적어 집으로 보낸다. 여행이 끝나고 집에 돌아온 후 어느 날 엽서를 받으면 지난 여행이 다시 생생하게 떠오르며 즐겁다.


그런데 신영복 선생의 <엽서>란 책을 읽는 것은 그저 즐거운 일일 수는 없다. 한참 세상살이에 고민이 깊었던 시절 이 책을 만났는데, 머리를 크게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도대체 어떻게 오랜 시간 고통과 외로움이 가득했을 교도소에서 이렇게 깊은 사색과 사회에 대한 신념을 강화해 올 수 있었을까? 신영복 선생이 엽서에 꼼꼼하게 글을 쓴 이유는 기록해두면 다시 그 시절을 생각할 수 있겠구나 싶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렇게 쓴 엽서는 단순히 기록이 아니라 온전히 이 시대와 사람에 대한 깊은 성찰과 애정을 담고 있기에, 이리저리 흔들리며 사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큰 울림과 함께 살아온 날들을 되짚어 부끄럽게 했다.


어느 환경에서든 자신을 늘 사람들 속에 두고, 그 사람들과 함께 새로운 사람으로 끊임없이 자기를 다듬어 갈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은 담담히 보여주었다.


요즘도 우리 사회에 잊고 싶은 일들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 대부분은 빨리 잊고 일상을 잘 살라고 한다. 그러나 단지 잊는다고 해서 저절로 세상이 더 살 만해 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잊는 것이 아니라 꼼꼼히 기록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구체적 행동을 통해 각자 새롭게 거듭 나면서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사실을, 작지만 큰 세상을 담은 이들 엽서에서 보고 또 본다.

1993년 너른마당에서 나온 초판은 절판됐고, 2003년 돌베개가 멋진 책으로 다시 출판했다.


경향신문 2014-10-20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사 신영복론]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 2004-12-01 오마이뉴스 최육상기자
기사 사진으로 돌아본 신영복교수의 생애 2016-01-15 경향신문_홍진수
기사 [카드뉴스] 활자 속에 살아 있는 신영복, 신영복의 뜻 2017-01-12 인터파크 BOOKDB
기사 [청구회추억][서평]국가변란 획책 '청구회' 조직원은 소년 여섯명이었다 2008-08-14 오마이뉴스 이윤기
기사 [처음처럼][소개]신영복 선생의 귀한 가르침 ‘콜럼부스의 달걀’ 2016-01-20 화이트페이퍼_정미경
기사 [처음처럼][소개]삶은 그저 숱한 역경 견디며 ‘처음’을 만드는 일 2007-02-08 문화일보 최현미기자
기사 [처음처럼][소개] 처음처럼 / 신영복 2015-03-06 대구일보
기사 [처음처럼 ] [소개] 故신영복 교수 유작 <처음처럼> 개정판 2016년 2월22일 출간 2016-02-15 아주경제_박상훈
기사 [저서] [소개]'처음처럼' 글씨 주인공, 신영복 선생이 남긴 책 2016-01-19 한국일보
기사 [엽서][소개]신영복의 엽서/재미있는 한국사 스페셜 2004-01-08 위클리경향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 2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