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6-03-01
미디어 교육과 사색_문제술

[교육과사색 3월호]
머리에서 가슴으로 - 문제술 (작가)


 북한산에 올라 대동문(大東門)을 거쳐 내려오다 보면 자연 우이동(牛耳洞) 계곡 길을 만나게 된다. 지난여름 한창 녹음이 우거져 있을 때, 마침 밤새 단비가 내리고 막 개인 뒤여서 이곳 계곡에서 경쾌한 물소리가 맑게 들렸다. 비 갠 뒤 바라보이는 산등성이로 흰 구름 허리 감기듯 넘어가고 계곡사이 떨어지는 물소리를 들으며 촉촉한 산길을 혼자서 걸어 내려 올 때, 도심이 바로 아래이건만 마치 깊은 산속에 와 있는 듯 했다.


 북한산에 올 때마다 다른 길로 가지 않고 이곳 우이동 계곡을 따라 내려오는 이유는 따로 있다. 봄이면 봄, 가을이면 가을, 사시사철 계절마다 이곳 경관이야 수려할 것이나 나로서는 '우이(牛耳) 신영복‘ 선생이 생각나서이다.

 

선생의 호를 ‘우이(牛耳)’, 우리말로 ‘쇠귀’라고 한 것은 선생의 부모님이 생전에 이곳 수유리에서 사시던 곳으로 그것이 연고지가 된 까닭이라 여긴다.

 

 최근 신간으로 나온 선생의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는 실제로 마지막 강단에서의 강의를 정리해서 출간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고전(古典), 특히 동양 고전으로 그 어렵다는 주역(周易)을 포함한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비교적 부담 없이 편안하게 접근해 볼 수 있게 한다. 그 뿐만 아니라 가만히 책을 읽다보면 그저 독서를 한다기보다 바로 옆에서 선생의 강의를 직접 들으며 함께 공감하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는 책 속에서 인(仁)으로 인간관계를 이야기하는 공자를 만나고, 의(義)를 말하는 맹자, 자유분방함의 장자, 그리고 상선약수(上善若水), 물은 모든 만물의 이익이 됨을 일깨우는 노자를 만나게 하는가 하면 ‘네 이웃을 사랑하라’ 고 어쩌면 기독교적 사상을 가진 묵자를 만나게도 한다.


 선생은 긴 수감 생활동안 수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그 가운데 집짓는 목수가 집을 그릴 때, 제일 먼저 밑에 놓인 주춧돌부터 시작해서 실제로 집을 짓는 순서에 따라 그리는 것을 보고 우리가 갖고 있는 딱딱하게 굳어진 관념들은 어떻게 깨뜨려야 하는지 일깨우고 있다.


무기 징역으로 기약 없는 수감 생활을 하는 가운데, 밖에서 아픔을 함께했던 부모님과 가족들의 눈물겨운 뒷받침이 있었을 것이나 터널같이 깜깜한 긴 어둠을 뚫고 이십년을 넘게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추운 겨울 독방에서 만나는 신문지 크기만 한 따뜻한 햇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 추운 겨울날 비스듬히 벽을 타고 내려와 마룻바닥에서 최대의 크기가 되었다가 다시 맞은편 벽을 타고 창밖으로 넘어가는 햇볕 한 줌, 길어야 두 시간이고 가장 클 때가 신문지 크기였다고 한다.


신문지만한 햇볕을 무릎 위에 받고 있을 때의 따스함이 살아 있음의 어떤 절정이었다고 했다. 그 한 줌의 햇볕에 대한 감사함으로 20년의 긴 수감생활을 그것으로 충분히 보상 받았다고 여겼다. 기약 없는 수감생활의 고통과 좌절의 순간들을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이 바로 ‘햇볕 한 줌’ 이라는 사실이 그저 놀랍기만 하다. 선생은 신문지 크기의 햇볕만으로도 세상에 태어난 것은 손해가 아니라고 여겼다. 그 따스한 햇볕이 죽지 않는 이유였다면 선생이 살아가는 이유는 하루하루의 깨달음과 공부였다고 한다.


끝으로 엽락분본(葉落糞本), 선생은 이제 초겨울 창밖을 내다보며 한 그림을 제시한다. 무성했던 잎을 모두 떨어뜨리고 가지 끝에 감(?) 하나 매달려 있는 나목(裸木)의 그림이다. 잎사귀의 떨어짐, 뼈대의 드러남, 나무를 지탱하는 구조, 환상과 거품으로 가려져 있던 우리의 삶과 우리 사회의 근본적 구조를 직시하라고 말한다. 선생은 우리의 할 몫이 뿌리를 거름하는 일, 뿌리가 바로 사람이며 사람을 키우는 것이 ‘분본’이라고 말한다. 또한 사람을 키우는 일이야말로 그 사회를 인간적인 사회로 만드는 일이고 ‘사람’을 키워내는 것으로 절망과 역경을 극복하는 것, 이것이 '석과불식(碩果不食)의 교훈이라고 했다.


 최고의 인문학은 사람을 키우는 일이다. 그것은 석과불식의 교훈이고 희망의 언어이다. 한 알의 씨앗, 씨 과실은 새봄의 싹이 되고 나무가 되고 숲이 되는 장구한 여정으로 열려 있다고 선생은 우리를 일깨운다.

  

언약(言約)은 강물처럼 흐르고

만남은 꽃처럼 피어나리.

 

선생은 그렇게 갑자기 떠나실 것을 미리 예견하셨는지 이별의 아픔을 달래는 이 글귀를 우리에게 남기셨다. 그간에 선생님과 나누었던 언약들이 우리의 가슴 속에서 꽃으로 피어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사 [신영복론] 이 시대 참 공부인 2016-01-26 LA중앙일보_서혜전
기사 [신영복론] 머리에서 가슴으로 2016-03-01 교육과 사색_문제술
기사 [신영복론] 물신주의 팽배한 세상을…'처음처럼' 살다 간 지성 2016-01-25 LA중앙일보_여정
기사 [신영복론] ‘시대의 거울’ 신영복 교수의 삶과 글 2016-01-29 레이디경향_강은진
기사 [신영복론] 여기 저기서 말하는 거버넌스, 과연 무엇인가? 2016-01-29 오마이뉴스_강세진
기사 [기사] 신영복, 베스트셀러차트에 2권 남기다 2016-01-29 뉴시스_신효령
기사 [기사] 조선대 도서관서 故 신영복 교수 저서 특별전 2016-01-29 전남일보_김기봉
기사 [기사] 故 신영복 교수 추모전 2016-01-28 국민일보_김남중
기사 [신영복론] ‘장년 신영복’의 날카로운 사유 2016-01-26 한겨레21_전진식
기사 [신영복론] 신영복 선생과 농어촌 작은 학교의 의미 2016-01-26 한국농어민신문_이상길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