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강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법가를 위한 변명


   법가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먼저 제기되는 것이 법가는 전국시대의 군주 철학이라는 주장입니다. 애민愛民 사상이 아니라 군주의 권력을 중심에 두는 충군忠君 사상이라는 것입니다. 비민주적 사상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러한 비민주적 성격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면에 있어서도 군주 권력에 과도한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관료 제도를 실패로 이끌었다는 것이지요. 관료의 역할과 임무를 최소화함으로써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결과적으로 관료제의 효율성을 살려내지 못했다는 것이지요.

   다음으로는 법가의 현실성에 대한 비판입니다. 법가는 변화된 현실을 인정하고 당대의 사회적 과제에 대한 새로운 대응 방식을 발 빠르게 모색했다는 점에서 다른 학파들과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법가가 추구한 부국강병의 방책方策에는 민부民富의 기초가 없다는 것이지요. 부강富强의 물적 토대가 허약하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한계가 비록 천하 통일이라는 현실적 과업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법가가 추구한 현실성이 한대漢代 이후 유가의 현실성에 그 지위를 넘겨주는 역설을 낳았다는 것이지요. 결국 법가의 현실성은 단기적 현실성이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법가 비판에 대하여 우리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여러 사상가들에 관하여 함께 읽는 동안 그 사상의 장단점을 지적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자제해왔습니다. 왜냐하면 어떠한 사상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전체 역사의 도도한 흐름을 구성하는 일부분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진한秦漢을 하나의 역사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진秦과 법가는 전국시대의 혼란을 통일하는 과정으로서, 그리고 한漢과 유가는 중앙집권적 전제군주국의 통치 과정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였지요. 진과 한은 각각 창업創業과 수성守城이라는 그 역사적 임무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어떠한 사상 체계라 하더라도 그것을 전체 과정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묻고, 결코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법가의 장단점과 한계를 지적하는 것은 물론이며, 법가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 법가의 개별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지요. 개별적 가치나 배타적 성격에 탐닉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관념론적 신조입니다. 다른 것과의 연관 즉 관계론에 대한 혐오를 바탕에 깔고 있는 것이지요. 모든 사상이 갖는 한계란 실상 완성된 체계에 도달할 수 있는 조건이 역사적으로 제약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지요. 바꾸어 말하자면 절대적 진리에 이르지 못하고 언제나 상대적 진리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는 역사적 제약의 다른 표현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법가는 물론이며 우리가 지금까지 함께 읽은 모든 사상 체계에 대해서도 똑같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사상은 다른 모든 사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파란만장한 역사적 전개 과정의 일환으로 출몰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어떠한 철학 체계라 하더라도 그것이 우리의 인식을 제약해서는 안 되는 것이지요. 그런 점에서 모든 사상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관념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는 것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개념적 인식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법가적 대응 양식 역시 당시 수많은 부국강병책의 하나였음은 물론입니다. 부국강병은 그 목표가 천하 통일이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천하 통일은 궁극적으로는 전국시대라는 대쟁지세大爭之世를 지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는 모든 제자백가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법가의 경우 부국강병의 구체적 모델이 전제군주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중앙집권적 관료 국가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앙집권적 관료 국가가 전국시대의 혼란을 평정하고 혼란의 재발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 법가의 인식입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법가 사상을 군주 철학에 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지요. 틀린 것은 아니지만 부분을 확대하는 것이지요.

   우리가 법가 사상에서 적극적 의미로 읽어야 하는 것은 개혁성과 법치주의입니다. 이것은 다른 사상에 비하여 분명한 차별성을 갖는 법가의 특징입니다. 법가의 개혁성은 구사회의 종법 구조가 이완되고 보수적 저항성이 약화됨으로써 형성된 새로운 공간을 충분히 향유하였습니다. 이 새로운 공간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관념적 제약에서 벗어나게 해주었습니다. 미래사관과 변화사관이 그것입니다. 법가의 개혁성은 이 과거의 구조가 해체되고 새로운 구조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개념입니다. 법치주의는 이러한 개혁성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법가의 법치주의는 먼저 성문법의 제정과 신상필벌 원칙으로 구체화되었습니다. 이것은 그 자체로서 대단한 발전입니다. 군주의 자의적 폭력에 대한 제도적 규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것은 사회적 예측 가능성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법치주의의 가장 발전된 형태가 관료제입니다. 관료 제도는 시스템에 의한 통치이기 때문입니다. 이 관료제에 대한 규제 방식으로서의 군주의 술術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바로 이 술치術治 때문에 법가가 권모술수의 학學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우리는 이 부분에서 결론을 내리는 데 신중해야 합니다. 그것은 춘추전국시대라는 시대적 성격과 관련된 것입니다. 춘추전국시대란 무도한 시대이며 혼란의 극치를 보이는 시대입니다. 임금을 죽인 것이 36번, 나라를 멸망시킨 것이 52번이었습니다. 이러한 하극상과 혼란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법가가 선택한 방법이 바로 관료에 대한 견제입니다. 왜냐하면 당시의 관료는 언제든지 제후나 대부의 지위로 바뀔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관료들의 이반離叛을 통제하고 견제하지 못하는 한 전기前期의 모순과 혼란이 반복되지 않을 수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입니다. 군주의 술치는 군주의 은밀하고 부정적인 권력이라기보다는 관료제라는 새로운 제도의 작동 원리로 이해해도 좋을 것입니다. 법가를 다시 읽는 우리가 결코 놓쳐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혁성과 법치주의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원리를 제도화하려는 시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114 11. 강의를 마치며 가슴에 두 손
113 11. 강의를 마치며 고전 독법에서 문명 독법으로
112 11. 강의를 마치며 이학理學에 대한 심학心學의 비판
111 11. 강의를 마치며 『중용』 독법
110 11. 강의를 마치며 『대학』 독법
109 11. 강의를 마치며 도전과 응전
108 11. 강의를 마치며 천지가 찬란한 꽃으로 가득 찬 세계
107 10. 법가의 천하 통일 천하 통일과 이사
» 10. 법가의 천하 통일 법가를 위한 변명
105 10. 법가의 천하 통일 교사巧詐는 졸성拙誠보다 못한 법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 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