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동(還童) 아버님께
5월 24일부 및 5월 30일부 하서와 함께 서전록(書展錄), 옥당지, 평론집 모두 잘 받았습니다.
아버님의 자상하신 옥바라지에 비해 이렇다 할 진척이 없는 제 자신이 새삼 부끄러워집니다. 그러나 이 부끄러움이 때로는 다음의 정진을 위한 한 알의 작은 씨앗이 되기도 한다는 것으로 자위하려 합니다.
여의치 못한 환경에서 글씨 쓰는 저희들에 대한 연민의 정이 차마 발길을 끊지 못하게 하는지 정향(靜香) 선생님께서는 신도안(新都安) 그 먼 길을 마다 않으시고 벌써 넉 달째 와주십니다.
정향 선생님의 행초서(行草書)를 보고 있노라면 과연 글씨가 무르익으면 어린아이의 서투른 글씨로 '환동'(還童)한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아무렇게나 쓴 것같이 서툴고 어수룩하여 처음 대하는 사람들을 잠시 당황케 합니다. 그러나 이윽고 바라보면 피갈회옥 장교어졸(被褐懷玉 藏巧於拙), 일견 어수룩한 듯하면서도 그 속에 범상치 않은 기교와 법도, 그리고 엄정한 중봉(中鋒)이 뼈대를 이루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멋이나 미에 대한 통념을 시원하게 벗어버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대범함이 거기 있습니다. 아무리 작게 쓴 글씨라도 큼직하게 느껴지는 넉넉함이라든가 조금도 태(態)를 부리지 않고 여하한 작의(作意)도 비치지 않는 담백한 풍은 쉬이 흉내낼 수 없는 경지라 하겠습니다.
그것은 물이 차서 자연히 넘듯 더디게 더디게 이루어지는 천연(天然)함이며, 속이 무르익은 다음에야 겨우 뺨에 빛이 내비치는 실과(實果) 같아서 오랜 풍상을 겪은 이끼 낀 세월이나 만들어낼 수 있는 유원(幽遠)함인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한마디로 글씨로써 배워서 될 일이 아니라, 사물과 인생에 대한 견해 자체가 담담하고 원숙한 관조의 경지에 이르러야 가능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결국, 글씨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이며 도(道)의 가지에 열리는 수확이 아니라, 도의 뿌리에 스미는 거름 같은 것이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은 모난 감정에 부대끼고 집념의 응어리를 삭이지 못하고 있는 저에게 정향 선생님의 어수룩한 행초서가 깨우쳐준 것은 분명 서도 그 자체를 훨씬 넘어서고 있는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1982. 6. 5.